4월 8일 경제 뉴스와 시장 반응: 채권 금리는 또 왜?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4월 8일 미국 주식 시장의 시황을 돌아보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뉴스와 그 파장을 함께 분석해 보겠습니다. 어제 Wall Street는 롤러코스터 같은 하루를 보냈으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고조된 가운데 시장은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그 중심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과 관련된 발표가 있었습니다.
주요 뉴스: 트럼프의 관세 정책 지속 및 강화 신호
어제 가장 주목할 만한 뉴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었습니다. 백악관은 4월 9일부터 중국 수입품에 대해 기존 관세에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되는 총 관세율이 104%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글로벌 무역 전쟁이 다시 한 번 가속화될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트럼프는 다른 주요 무역 파트너국에도 높은 관세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경고를 이어갔습니다.
시장 반응: 혼조세와 기술주 하락
이러한 뉴스에 따라 뉴욕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S&P 500은 약 1.57% 하락하며 4,982.77을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2% 넘게 하락한 15,267.9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상대적으로 덜 낙폭을 보이며 0.91% 하락한 37,965.60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큰 타격을 받은 것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과 기술 섹터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투자자들의 반응으로 해석됩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TSLA)는 4.9% 하락하며 시장의 불안을 상징적으로 보여줬습니다.
시장 참가자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경제 성장과 기업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 미국 기업들의 비용이 상승하고, 이는 소비자 물가와 인플레이션 압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우려는 S&P 500이 고점 대비 19% 하락하며 베어마켓 문턱에 다다랐다는 점에서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최근 4거래일 연속 급락으로, 누적 하락률이 12%에 달하는 상황입니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오른다 : 중국이 채권을 매도하고 있나?
장기적으로,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글로벌 경기 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 동시 발생)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일부 분석가들은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를 서두를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는 단기적으로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보지만, 근본적인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 중 하나로 최근 10년물 국채 금리가 튀었습니다. 국채 금리가 올랐다는 의미는 국채 가격이 하락했다는 것이죠. 국채 금리(수익률)이 오르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현재 그 이유는 두가지로 분석이 됩니다.
하나는 시장에서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입니다. 보통 금리 인상 시기에 국채 금리가 많이 오르죠. 두 번째로는 중국의 미국 채권 매도입니다. 중국은 미국 국채의 주요 보유국 중 하나죠. 미국의 보복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중국이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있나는 소문이 있습니다. (중국은 외화 보유고를 자주 발표하지 않아 정확하지 않습니다.) 중국이 채권을 매도하면서 공급이 늘어나기 때문에 가격은 하락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10년물 채권 금리가 떨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 정책과 FED의 통화 완화 정책을 펼지는데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결론 : 롤러코스터 장세에 멀미 하지 마세요
어제 미국 주식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큰 변동성을 겪었습니다. 이 글을 쓰는 와중에도 중국에서 무역 분쟁 해결을 위해 미국과의 대화를 촉구한다는 소문이 돌자 시장이 반응을 하고 있습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롤러코스터를 타는 장세입니다. 무역 관세 문제가 정리되지 않으면 당분간 울렁거리는 장세는 멈추지 않겠죠. 우리 투자자들은 시장 조정 국면이 지속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리스크 관리 등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고민해야 겠습니다.
'경제적자유를 꿈꾸는 봄파 >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4월 10일 경제 뉴스와 시장 반응 : 3월 CPI와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 영향 (3) | 2025.04.11 |
---|---|
[미국 주식 시황] 4월 9일 경제 뉴스와 시장 반응 : 트럼프 풋! 관세 유예 발표 (15) | 2025.04.10 |
[미국 주식 시황] 4월 7일 경제 뉴스와 시장 반응 : 댄아이브스 너마저 (8) | 2025.04.08 |
[미국 주식 시황] 4월 4일, 역대급 공포 탐욕지수 : 약세장의 시작인가? (9) | 2025.04.05 |
[미국 주식 시황] 4월 3일 경제 뉴스와 시장 반응 : 트럼프 관세 정책의 후폭풍 (16) | 2025.04.04 |
댓글